인월 – 금계

탐방로 구간별 난이도

  1. 1등급
    매우쉬움
  2. 2등급
    쉬움
  3. 3등급
    보통
  4. 4등급
    어려움
  5. 5등급
    매우어려움
Download
선화사경유(20.5km) : 구인월교 – 중군마을(2.1km) – 수성대(2.9km) – 배너미재(0.8km) – 장항마을(1.1km) – 서진암(2.5km) – 상황마을(3.5km) – 등구재(1km) – 창원마을(3.1km) – 금계마을(3.5km)

Download
삼신암경유(19.8km) : 구인월교 – 중군마을(2.1km) – 선화사갈림길(0.8km) – 수성대입구(1.1km) – 수성대(0.3km) – 배너미재(0.8km) – 장항마을(1.1km) – 서진암(2.5km) – 상황마을(3.5km) – 등구재(1km) – 창원마을(3.1km) – 금계마을(3.5km)

구간별 경유지

선화사경유(20.5km) : 구인월교 – 중군마을(2.1km) – 수성대(2.9km) – 배너미재(0.8km) – 장항마을(1.1km) – 서진암(2.5km) – 상황마을(3.5km) – 등구재(1km) – 창원마을(3.1km) – 금계마을(3.5km)

삼신암경유(19.8km) : 구인월교 – 중군마을(2.1km) – 선화사갈림길(0.8km) – 수성대입구(1.1km) – 수성대(0.3km) – 배너미재(0.8km) – 장항마을(1.1km) – 서진암(2.5km) – 상황마을(3.5km) – 등구재(1km) – 창원마을(3.1km) – 금계마을(3.5km)

전라북도 남원시 인월면 인월리와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의탄리를 잇는 20.5km의 지리산둘레길. 인월-금계구간은 지리산둘레길 시범구간 개통지인 지리산북부지역 남원시 산내면 상황마을과 함양군 마천면 창원마을을 있는 옛 고갯길 등구재를 중심으로 지리산 주능선을 조망하고, 넓게 펼쳐진 다랑논과 6개의 산촌 마을을 지나 엄천강으로 이어지는 길이다. 제방길, 농로, 차도, 임도, 숲길등이 전 구간에 골고루 섞여있고, 또한 제방, 마을, 산과 계곡을 고루 느낄 수 있다.

남원인월센터

전북 남원시 인월면 인월2길 95 / 063-635-0850

남원함양센터

경남 함양군 마천면 금계길 5 / 055-964-8200

1. 중군마을
전투 군단 편성에 있어 전군(前軍), 중군(中軍), 후군(後軍)이 있고 따로이 선봉부대가 있는 것이니, 그중의 중군이 임진왜란 때 이곳 마을에 중군(中軍)이 주둔한 연유로 인해 마을 이름을 중군리(中軍里) 또는 중군동(中軍洞이)라 불리어졌다고 한다. 중군마을은 본업인 농사 외에도 잣과 송이 채취로 부수입을 올리고 있다. 하지를 지나도 비가 오지 않으면 동네 부인들이 머리에 키를 쓰고 마을 앞 냇가에서 통곡을 하면서 무제를 지낸 풍습이 있던 마을이다.
2. 수성대
중군마을 농로를 따라 오르다 보면 황매암이라는 작은 암자를 지나 숲길을 걸어 수성대에 이른다. 수성대 계곡의 물은 현재 인근의 중군마을과 장항마을의 식수원으로 음용될 만큼 맑고 깨끗한 물이다. 식수로 이용이 가능하고 비가 많이 올 경우에는 물이 불어나 건너기 어렵다.
3. 배너미재
배너미재(개서어나무) 수성대에서 산길을 따라 오르다 내리막이 시작되는 곳은 전설에 운봉이 호수일 때 배가 넘나들었다는 배너미재이다. 배너미재는 운봉의 배마을(주촌리), 배를 묶어두었다는 고리봉과 함께 연결되는 지리산 깊은 산속에 있는 배와 관계된 지명이다.
4. 장항 소나무당산
(노루목 당산 소나무) 장항마을에서 만나는 당산 소나무는 지금도 당산제를 지내고 있는 신성한 장소로 천왕봉을 배경으로 아름다운 자태를 드리우고 있어 감탄을 자아내기 충분하다.
5. 장항마을
마을 뒤 덕두산에 많은 사찰이 있었는데 1600년 경 수양하러 왔던 장성 이(李)씨가 처음 정착하여 개척을 하였다. 이후 각 성씨가 들어와 마을을 형성하게 되었는데, 산세의 지형이 노루의 목과 같은 형국이라 하여 노루 장(障)자를 써 ‘장항’이라 했다. 중군마을에서 배너미재를 넘어 도착하는 장항마을은 수려한 풍모의 소나무 당산이 웅장하게 자리를 잡고 있다. 장항마을에서는 지금도 매년 신성하게 당산제를 지낼 만큼, 전통이 살아 숨 쉬는 마을이다.
6. 매동마을
고려 말과 조선 초, 중기에 걸쳐 네 개의 성씨(서, 김, 박, 오) 일가들이 들어와 일군 씨족마을이다. 마을 형국이 매화꽃을 닮은 명당이라서 매동(梅洞)이란 이름을 갖게 된 이 마을은, 각 성씨의 오래된 가문과 가력을 말해주듯 네 개의 재각과 각 문중 소유의 울창한 송림이 마을을 둘러싸고 있다. 마을 앞을 흐르는 만수천변에는 조선 후기 공조참판을 지낸 매천(梅川) 박치기가 심신을 단련하기 위해 지은 퇴수정(退修亭)과 그 후손이 지은 밀양박씨 시제를 모시는 관선재(觀善齋)가 있는데, 우거진 소나무들을 뒤로 두르고 앞으로는 만수천이 흐르며 발밑에는 흰 너럭바위들이 어우러져 뛰어난 풍광을 자랑하고 있다. 박치기의 생존 당대에는 정기적으로 일년에 한 번씩 시인묵객들이 이 정자 밑 너럭바위, 세진대(洗塵臺)에 모여 풍유를 즐겼다고 하는데, 그 숫자가 족히 일백 명에 달했다고 한다. 불과 삼사십 년 전만해도 저녁이면 마을 사람들이 모두 이곳에 모여 맑은 물 위에 달이 떴다 지도록 놀았다고 한다. 지금은 시대가 바뀌어 산내면의 대표적인 생태농촌 시범마을로 지정돼 전통과 개발이라는 새로운 변화를 모색하고 있는 마을이다.
7. 창원마을
넉넉한 곳간 마을. 창원. 조선시대 마천면내의 각종 세로 거둔 물품들을 보관한 창고가 있었다는 유래에서 ‘창말(창고 마을)’이었다가 이웃 원정마을과 합쳐져 현재 창원이 되었다. 창고마을이었던 유래처럼 현재도 경제적 자립도가 높은 농산촌마을이다. 다랑이 논과 장작 담, 마을 골목, 집집마다 호두나무와 감나무가 줄지어 있고 아직도 닥종이 뜨는 집이 있다. 함양으로 가는 오도재 길목마을로 마을 어귀 당산에는 300여 년 수령의 너덧 그루의 느티나무와 참나무가 둥그렇고 널찍한 당산 터를 이루어 재 넘어가는 길손들의 안녕을 빌고 쉼터를 제공하는 풍요롭고 넉넉한 농심의 산촌마을이다.
8. 금계마을
금계(金鷄)마을로 개명되기 전 마을 이름은 ‘노디목’이었다. 노디는 징검다리라는 이 지방 사투리로 칠선계곡에 있는 마을(추성, 의중, 의탄, 의평)사람들이 엄천강 징검다리(노디)를 건너는 물목마을이라 부른 데서 유래했다고 한다. 산촌사람들의 정을 징검징검 날랐을 노디가 세월에 씻겨 나가고 지금은 그 위에 의탄교가 들어서 있다.

[2022.07.01 기준] 코로나로 인해 교통정보가 자주 바뀝니다. 반드시 확인전화를 해 보시길 바랍니다


[버스]

함양지리산고속          055-963-3745

인월터미널                  063-636-2000

마천버스정류소          055-962-5017

남원여객                      063-633-0807 (시외)    063-631-3116 (시내)


[택시]

남원택시 천사콜         063-632-1414

남원교통(인월)           063-636-2162

운봉콜택시                  063-636-3636

마천택시                      055-962-5110

버스 이용안내

• 서울(동서울종합터미널) → 인월(지리산공용터미널)
• 광주(광주종합버스터미널) → 인월(지리산공용터미널)
• 대전(대전복합터미널) → 인월(지리산공용터미널)
• 대구(서부정류장) → 인월(지리산공용터미널
• 부산(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 인월(지리산공용터미널)

기차 이용안내

• 용산역 → 남원역 → 인월
• 광주송정역 → 남원역 → 인월
• 광주역 → 환승 → 남원역 → 인월
• 서대전역 → 남원역 → 인월
• (동)대구역 → 환승 → 남원역 → 인월

※ 기타안내

• 서울(동서울종합터미널 / www.ti21.co.kr / 1688-5979)
• 서울(센트럴시티(호남)터미널 / www.centralcityseoul.co.kr / 02-6282-0114)
• 대전복합터미널 / www.djbusterminal.co.kr / 1577-2259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www.usquare.co.kr / 062-360-8114
• 대구(서부정류장(서부시외버스터미널) / 1688-2824)
• 부산(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 www.busantr.com / 1577-8301)
• 기차관련 정보(www.korail.com / 1544-7788 / 1588-7788)

[2023.03.02. 기준] 민박여부가 자주 바뀝니다. 반드시 확인전화를 해 보시길 바랍니다


[월평마을]
  • 가자하얀집      010-7636-2363
  • 감나무집          010-5371-2356
  • 나무대문집      010-6350-3776
  • 늘푸른 집         010-3675-2231
  • 달오름체험장  063-635-2231
  • 두꺼비집          010-8539-6609
  • 마당너른집     010-6660-0108
  • 술익는집          010-2040-2130
  • 정종순 민박     010-4164-9842
[장항마을]
  • 장항민박          010-2804-3301
[원천마을]
  • 뱀골가든민박  010-5678-3181
[중기마을]
  • 달빛마루게스트하우스       010-4480-1314
[매동마을]
  • 감나무 공할머니          010-8960-8685
  • 매동소나무                  010-5093-1710
  • 매동이층집                  010-8789-3549
  • 매동황토방                  010-3606-0364
  • 소소게스트하우스       010-8589-0148
  • 엄나무집                      010-7340-3013
  • 전망좋은 황토방          010-2974-5111
  • 지리산둘레길민박       010-3877-8947
  • 태양초                          010-3575-3097
  • 황토방                          010-9436-3289
[중황마을]
  • 별과달민박펜션           010-7172-3415
  • 다래랑머루랑펜션       010-3658-4765
  • 해오름민박펜션           010-2648-9844
  • 사계절여행                   010-2241-5664
  • 산그늘펜션                   010-6206-3039
[상황마을]
  • 황치골                           010-4373-9123
  • 등구령                           010-4699-3514
  • 솔솔민박                       010-6743-3475
  • 예인카페펜션                010-3717-8879 (회원제, 주말영업)
  • 등구재황토방                010-8533-3145 (월요일 휴무)
  • 노고지리산방                010-9901-4726
  • 상순이쉼터민박            010-8981-3075
[창원마을]
  • 예쁜민박                       010-2870-5379
  • 지리산촌                       010-2882-6201(구들방, 화/수 영업안함)
  • 석류나무민박                010-9074-0655
  • 하늘길쉼터                    010-3880-0294
  • 지리산롯지                    055-963-9788  (단체가능)
  • 창원생태산촌마을         010-4948-0552
[금계마을]
  • 큰집                               010–9321-5162
  • 나마스테                       010–3504-6516
  • 산모음                           010-8830-5076
  • bnb금계5362               010-9473-8001 (여성전용)

장항마을

장항마을 소나무 당산 윗쪽 의자 옆에 위치

창원마을

창원마을 당산나무 아래 위치